2023. 1. 10. 16:02ㆍ개발자 블로깅/Question
HTTP messages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
HTTP messages 두 가지 유형
- 요청(Requests)
- 응답(Responses)

HTTP Request (요청)
: Method, Path, Version of the protocol

- Method: HTTP 메서드는 보통 클라이언트가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을 정의한 GET, POST, OPTIONS, HEAD를 지칭 GET 사용(클라이언트 리소스 가져오기) POST( HTML 폼의 데이터를 전송) 사용한다.
다른 경우에는 다른 동작이 요구될 수도 있다.
- Path: 가져오려는 리소스의 경로는 프로토콜http://, 도메인 여기서는 developer.mozilla.org,
또는 TCP 포트여기서는 80인 요소들을 제거한 리소스의 URL이다.
- Version of the Protocol: HTTP 프로토콜의 버전.
- Headers: 서버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전달하는 선택적 헤더들.
- etc : POST와 같은 몇 가지 메서드를 위한, 전송된 리소스를 포함하는 응답의 본문과 유사한 본문.
HTTP Responses (응답)
: Version of the protocol, Status message, Status Message, Headers

- Version of the Protocol : HTTP 프로토콜의 버전.
- Status Code : 요청의 성공 여부와, 그 이유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
* 상태 코드 : 200~ 성공 400~ 클라이언트 요청 오류 500~ 서버 내부 오류
- Status Message : 아무런 영향력이 없는, 상태 코드의 짧은 설명을 나타내는 상태 메시지.
- Headers : 요청 헤더와 비슷한, HTTP 헤더들.
- etc : 선택 사항으로, 가져온 리소스가 포함되는 본문.
HTTP 메시지 구조

참고
'개발자 블로깅 > Ques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nnerHTML VS innerText VS textContent 차이점 (0) | 2023.01.31 |
|---|---|
| 순수함수란 무엇인가요? 불변성과 사이드 이펙트와 연결하여 설명해주세요. (0) | 2023.01.17 |
| 배열, 객체를 const로 선언했는데 요소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는 이유? (2) | 2023.01.09 |
| [형 변환] 문자형, 숫자형, 불린형 (3) | 2022.07.16 |
| JavaScript - 엄격모드 (use strict)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