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10-[JavaScript] 자료형, 스코프, 클로저, ES6 신규 문법 회고

2022. 7. 13. 20:19코드스테이츠/회고

Chapter1.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

  • 원시 자료형(primitive data type)과 참조 자료형(reference data type)의 구분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영상을 보고 이해할 수 있다.
  •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의 차이를 이해하고, 각자 맞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원시 자료형이 할당될 때는 변수에 값(value) 자체가 담기고, 참조 자료형이 할당될 때는 보관함의 주소(reference)가 담긴다는 개념을 코드로 설명할 수 있다.
  • 참조 자료형은 기존에 고정된 크기의 보관함이 아니라, 동적으로 크기가 변하는 특별한 보관함을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hapter2. 스코프

  • 스코프의 의미와 적용 범위를 이해한다.
  • 스코프의 주요 규칙을 이해한다.
  •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의 차이를 이해한다.
  • block scope와 function scope의 차이를 이해한다.
  • 변수 선언 키워드(let, const, var)와 스코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전역 객체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Chapter3. 클로저

  • 클로저 함수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 클로저가 갖는 스코프 범위를 이해할 수 있다.
  • 클로저를 이용해 유용하게 쓰이는 몇 가지 패턴을 이해할 수 있다.

Chapter4. ES6 신규 문법

  • spread/rest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 구조 분해 할당을 사용할 수 있다. 

 

회고 질문

 

1. 지금 현재, 당신의 기분이나 느낌을 표현해주세요.

   순식간에 3주가 되어가고 내가 잘하고 있는건가? 생각할 틈도 주지 않는 ... ㅋㄷㅅㅌㅇㅊ

   스코프.. 이해가 되는거 같......다가 클로저에 무너졌다... 아아악

   Koean 과제를 하며 가장 어려웠던 부분 "클로저"  반복한습하자...

 

2. 오늘 학습한 내용 중 지금 떠올릴 수 있는 단어를 모두 나열해주세요.

   원시자료형과 참조 자료형, 스코프, 스코프 범위, 전역스코프, 지역스코프

   black scope, function scope, let, const, var

  spread, rest, 구조분해할당

 

3. '2' 에서 작성한 단어를 가지고, 오늘의 학습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4.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클로저, 개념을 배우고 코드를 보고 풀어 보는 문제에서 계속 틀렸고 푸는 시간이 오래걸렸다.

   - var, let, const 각 특징 외우고 헷갈리지 않기

 

5. 그 단어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 누군가에게 질문을 한다면,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요?